[에너지산업신문]

LG화학은 16일 일본의 노리타케 사와 자동차 내 전력 반도체(SiC) 칩과 기판을 접합하는 접착제인 실버페이스트(Silver Paste)를 공동 개발한다고 밝혔다.

실버페이스트는 은(Ag) 나노 입자를 포함한 고성능 접착제다. 내열 및 방열 성능을 동시에 확보해 고온에서도 안정적 성능을 유지하는 이 접착제는 LG화학의 입자 설계 기술과 노리타케의 입자 분산 기술을 접목해 개발했다. 양사는 차세대 제품 개발도 함께 하기로 했다.

노리타케는 정밀 세라믹 분야에서 120년 이상의 기술력을 보유한 일본 기업으로 반도체ㆍ자동차 산업에 연마 휠, 전자부품용 소재, 열처리 장비인 소성로 등을 공급하고 있다. 전력반도체를 접합하는 기존 납땜 방식은 전력 반도체 구동 온도가 최고 300℃까지 높아져 향후 적용이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자동차는 전기자동차를 포함해 전동화와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하면서 고내압, 고전류, 고내열 전력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기존 실버 페이스트는 냉동 보관을 해야 하고, 보관 기한이 짧아 관리가 어렵다. 새로 개발한 제품은 장기간 상온 보관할 수 있다. 운송 및 보관 효율이 높고, 고객 공정 내 제품 사용 가능 시간도 길어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자동차 전력 반도체용 실버 페이스트 시장은 2025년 약 3000억 원에서 2030년에는 85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LG화학은 축적된 기술력과 소재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자동차 전장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며 “노리타케와 협력해 글로벌 자동차용 접착제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LG화학과 日노리타케가 개발한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 (c)LG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