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삼성SDI와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인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산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삼성SDI에 따르면 양사는 20일 경기 용인시 삼성SDI 기흥사업장에서 협약을 맺고 실무협의체를 꾸려 세부 이행 과제를 구체화하기로 했다. 삼성SDI는 글로벌 ESS용 배터리 부문의 시장 선도 업체, 전기안전공사는 에너지 안전 책임 전문기관이다.

이번 협약은 정부 주요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및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가파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선제적으로 다지기 위해 진행됐다.

삼성SDI와 전기안전공사는 지난 5월 극한 환경에서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공동 개발을 발표하는 등 ESS 안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전기안전공사는 “삼성SDI는 최근 국내 최초로 진행된 장주기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전체 발주 물량의 약 80%를 수주할 만큼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효과적인 ESS 사고 예방 체계가 만들어질 것”고 밝혔다.

협약에는 △ESS 등 설비 안전관리 정책 발굴 및 안전성 강화 개선안 마련 △사고 예방 매뉴얼 공동 개발 및 기관 간 대응체계 마련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소화시스템 설치 등 관계자의 자율적 참여 유도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 교류 등이 포함됐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는 “이번 협약은 삼성SDI의 기술 리더십을 사회적 책무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전기안전공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제품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사장은 “에너지 대전환 시대에 ESS 확보는 국민 안전과 국가 에너지 안보를 위한 최우선 과제”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ESS 전주기에 걸친 안전망을 구축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주선 삼성SDI 사장(오른쪽 두번째)과 남화영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세번째) 등 관계자들이 업무협약 체결 후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c)삼성S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