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한전KDN이 중앙대학교와 지난 20일 중앙대학교 본관 3층 회의실에서 ‘에너지산업의 디지털 전환 선도 및 미래 핵심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박상형 한전KDN 사장과 박상규 중앙대학교 총장이 협약서에 서명하고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에너지와 인공지능 융합을 통해 미래 에너지산업 혁신을 선도하고 국가 차원의 ESG 경영 확산과 차세대 전문인력 양성 등에 양측이 힘을 합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 에너지·AI 융합연구 및 실증 사업 △ 탄소중립·ESG 협력 △인력 양성 등을 공동 수행한다.
에너지·AI 융합연구 및 실증과 탄소중립·ESG 협력을 위해 인공지능(AI)-맞춤형 에너지 관리시스템(xEMS), 분산전원 연계 가상(통합)발전소(VPP), 자립형 캠퍼스 등을 공동 연구하고 스마트 탄소중립 관리 솔루션과 ESG 지표 개발 및 확산을 추진한다. 석·박사 과정 학생 및 현업 인력을 대상으로 한 산학 연계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구체적인 협력에 상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협약 내용에 따른 실행 방안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양측은 ‘산학협력·지속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협력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양 기관은 공동 연구과제 발굴과 에너지ICT 관련 데이터 공유, 성과 발표회·워크숍·학술 세미나를 통한 연구 성과 산업 적용 제고, 산학 간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 확립 등 기본협약과 별도의 추가 상호 협력도 모색 중이다.
박상규 중앙대학교 총장은 “이번 협약은 단순한 산학협력을 틀을 넘어 AI와 에너지의 융합을 통한 국가적 탄소중립과 ESG혁신 선도 의지를 담고 있다”며 “한전KDN의 클라우드-AI 기반 에너지 플랫폼과 RE100 실현 솔루션, 중앙대의 AI와 에너지 융합연구 선도 기술을 접목해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플랫폼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형 한전KDN 사장은 “전통적 명문 학교, 학문의 전당 중앙대의 첨단 연구개발 역량에 한전KDN의 현장 경험을 녹여 시너지 효과가 클 것”이라며 “플랫폼 중심 에너지 디지털 허브를 구상 중인 한전KDN의 실력에 중앙대의 연구 역량을 더해 국가 에너지 정책을 실현하고 에너지산업 디지털 전환과 ESG 혁신 선도로 국민 신뢰를 받는 협력 모델을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에서 20일 한전KDN과 중앙대의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c)한전KDN